고려의 문화

I. 유학
불교 숭상 국가인 고려에서도 유학은 치국의 근본이라면서 정치 이념을 주도적으로 담당했어.
유학 중에서도 초반에는 경전의 자구해석을 중심으로 하는 훈고학이 발달하다가, 후기에 가서는 인간의 심성과 우주의 원리를 탐구하는 성리학이 주도권을 잡지.

1. 고려 초기
태조는 서경에 학교를 세우고, 6두품 출신의 유학자들을 등용하여 그들의 도움을 받아 정치 방향을 정했어.
광종 때는 유교를 과목으로 한 시험인 과거제가 실시됐고,
성종은 유학을 장려하기 위해 중앙에는 국자감, 지방에는 의학·경학박사(교수)를 파견하고 향교를 세웠지.
관학(공교육)을 진흥시키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이야.

2. 문벌귀족
문벌귀족에서 유명한 학자로는 김부식과 최충이 있어.
최충은 해동공자라고 불리는 매우 학식이 높은 학자였는데, 그는 문헌공도라는 학당을 세워.
9개의 유학과 역사의 전문과정을 나누어서 가르쳤다고 해서 9재 학당이라고도 불러.
지금으로 따지면 9개의 단과학원이 성행한 거지.
최충이 학당을 세워서 그곳에서 많은 수험생들이 과거에 합격했으며, 수입도 짭짤하고, 많은 학자들을 융성하여 인재들이 그를 따르자, 고관 출신들이 너도 나도 학당을 세우는 거야.

그러니 귀족 자제들은 관학보다는 사학 쪽을 찾게 되고, 결국에는 유명한 사학당 12개가 생겨. 그것을 사학 12도<★> 라고 해.

국학이란 제도가 중국의 것을 그대로 모방한 것이라서 우리 정서에 맞는 사학한테는 상대가 되지 않았어.

3. 무신집권기
이때는 유학이 위축되니 별로 볼 것이 없음.

4. 고려후기 (권문세족, 신진사대부)
그동안 고려에는 훈고학이 유행이었지만, 안향이라는 학자에 의해 원나라로부터 성리학이 소개돼.
원간섭기를 거쳐 혼란상황이 지속되자 새로운 이념이 필요해진거야.
성리학을 받아들이고 공부한 학자들을 신진사대부라고 부른다고 저번 시간에 얘기했지?
이 성리학을 성균관(중앙 교육기관. 국자감 -> 국학 -> 성균관)에서 적극 교육한단다.

●고려초기 : 국자감
●문벌귀족 : 최충(문헌공도=9재 학당,사학12도에 영향)
●무신집권기 : 유학 위축
●고려후기 : 성리학. 안향. 성균관

II.역사
고려 때는 유학이 발달하면서 그에 힘입어 역사서가 많이 편찬되었단다.

1. 호족
건국 초기부터 실록을 편찬하기 시작했는데 망할 놈의 거란족이 침입하는 바람에 불에 타버려서 소실됐어.
그러나 고려는 포기하지 않고 잔해 속에서 자료들을 모아서 다시 편찬한 7대실록 구삼국사가 있었으나, 지금은 현존하지 않아ㅡㅜ

2. 문벌귀족
우리나라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역사서인 김부식의 삼국사기!<★>
문벌귀족답게 유교사관과 사대적인 성격이 묻어나는 책이란다.
그리고 승리자인 신라 중심으로 서술된 역사서야.
또한 삼국사기는 기전체 서술 방식을 보여주고 있어.

기전체가 뭐냐면 왕에 대한 본기, 신하에 관한 기록인 열전, 제도나 풍습에 관한 지, 연표 등으로 구성되는 체제야.
반면 편년체는 걍 연월에 따라서 서술한 방식이란다.
기전체는 인물 중심! 편년체는 시간 중심!

3. 무신집권기
각훈이 쓴 해동고승전과 이규보가 쓴 동명왕편이 있어.
전자는 고승(스님)들의 전기를 쓴 것이고, 동명왕편은 고구려 세운 고주몽의 전기를 쓴 것이지.
몽고 침략기에 고구려의 역사를 통해 자주성을 고취시켜려고 한 거야.

4. 고려 후기
자! 원간섭기가 시작됐어. 원나라 놈들이 우리의 정체성을 말살시키려고 해. 그럼 어떻게 해야겠어?
우리의 정체성을 잃지 않도록 해야지!
그래서 불교사를 중심으로 민간 설화와 전래 기록을 수록하면서 단군 고조선의 이야기를 다룬 일연의 삼국유사<★★★>이승휴의 제왕운기<★>가 탄생해.

이런 역사서를 통해 민족의식을 단단히 다졌지.
삼국유사는 불교를 중심으로! 제왕운기는 유교를 중심으로 해서 도교, 불교를 포함하여 서술을 하고 있어.
고려 후기의 역사서는 죄다 소멸됐고 이제현의 사략에 실린 사론만이 남아있는데 이는 대의명분이 녹아있는 성리학적 사관 성격을 띄고 있었지.

● 문벌귀족 : 삼국사기(김부식,기전체 서술방식, 유교 사관)
● 원간섭기 : 삼국유사(일연, 불교 사관, 고조선). 이승휴(제왕운기)

III. 불교
1. 고려 초기
태조는 불교를 적극적으로 지원했는데 중앙에서는 연등회와 팔관회가 성대히 열렸고, 훈요10조를 지어서 계속 이 행사를 중시하라고 당부하기도 했어.
불교 진흥을 위해 투자를 팍팍! 한 거야.

통일신라 후기에는 선종(선)이 유행했지? 고려에 와서는 교종(교학)의 영향력이 강해져.
초기에 화엄종(교종), 법상종(교종), 선종... 이렇게 3가지 종파가 발전하고 있었어.
종파가 대등하게 발전하니 어떻게 되겠어?

서로 우위를 차지하려고 치고 박고 싸우겠지?
게다가 이런 종파는 정치적 세력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었어.
따라서 고려에서는 교종과 선종의 치열한 우위 싸움이 전개돼.

2. 문벌귀족
교종은 뭐야? 경전해석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야.
글도 모르는 평민들은 감히 다가가지도 못하는 종파라고!
매우 귀족적 성격을 띠고 있잖아.

어때? 귀족 정치 펼치는 딱 문벌귀족스럽지?
그래서 문벌귀족이 득세하던 때는 교종이 유행해.
더 나아가 교종과 선종을 통합시키려는 노력이 전개돼.

그에 앞장섰던 인물이 의천대사!
당시 교종은 5개의 종파가 있었는데, 의천은 흥왕사에서 화엄종(교종) 종파를 중심으로 문벌귀족의 지지를 받는 법상종(교종)을 누르는 등 교종 종파를 통합한 후, 국청사를 창건하여 선종까지 교종을 중심으로 포용하는 교단 통합 운동을 펼쳐.
그래서 탄생한 것이 교종도 아니요, 선종도 아닌 천태종<★>이야.

천태종에서는 교종과 선종을 통합해서 수행해야 한다는 교관겸수<★>, 안과 밖이 어울러 갖추어져야 한다는 내외겸전을 주장해.
근데 문제는 이 의천이 왕자란 말이지. 아무래도 왕자니까 힘이 강했겠지?
교종과 선종을 논리로만 통합한 것이 아니라 물리적인 힘으로 통합을 시켰어.
교리중심이 아닌 교단중심의 통합! 이러니까 한계가 있지.
의천이 죽고 나자 다시 분리되어버려;

솔직히 말해서 불교파트는 말이지...
이해하려고 하면 더 힘들어지는 파트야 ㅡ.ㅡ
그래서 살짝만 이해하고, 꾹 참고 걍 외워.

3. 무신집권기
무신 정권 때는 선종이 유행해.
이때는 지눌에 의해 선종과 교종이 통합되는데, 이는 물리적으로 통합이 되는 것이 아니라 정상적인 통합이 이루어지는데 성공을 해.
교단이 아닌 교리를 중심으로 통합!
의천의 천태종과 달리 지눌은 수선사에서 화엄경 공부에 몰두하여 의미를 분석한 후 선종을 중심으로 교종을 가미하는 조계종을 창시해.

조계종은 교종과 선종을 함께 공부해야 한다는 정혜쌍수<★>와 진리를 얻어도 구체적인 번뇌는 한번에 없어지지 않으므로 깨달음을 얻은 후에도 계속 수행하여 번뇌를 차례로 제거할 수 있다는 돈오점수를 주장한단다.
또한 지눌은 당시 부패한 불교를 개혁하려고 수선사 결사<★★★>를 만들었어.

●문벌귀족 - 교종 유행. 의천대사(천태종. 교관겸수)
●무신집권기 - 선종 유행. 지눌(조계종. 정혜쌍수. 수선사 결사)

2021년 수능기출!

고려시대 책 고르란다.

1 : 발해고는 조선.
2 : 동사강목도 조선.
3 : 제왕운기 정답!
4 : 한국통사 일제강점기.
5 : 조선사회경제사 일제강점기.

정답 3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