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문화2

I.과학
1. 천문학
별들을 관측하는 첨성대, 기상을 관측하는 사천대(나중에 서운관으로 바뀜)가 천문학과 관련이 있는 건축물이고,
역법은 당나라로부터 들여온 선명력을 쓰다가 고려 후기에 원나라의 수시력으로 바뀌어.
그리고 공민왕 때 반원정책을 펼치며 명나라의 대통력이 들어오지.

역법이 뭐냐면 시간을 구분하고, 날짜의 순서를 매겨나가는 방법이야.
지금은 12달로 나누고 28~31일로 나누며 24시간으로 나누지? 일주일은 7일. 이런 식으로 정한 것을 역법이라고 해.
가능성은 희박하겠지만, 과학이 발전해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어 역법이 바뀌면 1년이 막 13월이 될 수도 있는 거야.
이러한 천문학은 왕권강화, 농업중시와 깊은 관련을 갖고 있어.
1년 농사 망하지 않도록 하늘의 움직임을 보면서 연구하는 것이니 농업중시와 연관이 있다는 것은 이해가 가지?

근데 왜 왕권강화와 관계가 깊냐면, 당시 옛날 사람들은 대부분 하늘을 숭배하고 있었는데
그 하늘에 대한 해석과 그에 대한 제사를 왕실이 주도했거든.
그냥 쉽게 왕이 하늘과 가장 친한 사람!
천문학의 발달로 하늘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면 더 친해 보이겠지?
따라서 왕권강화! 라고 외우면 돼.

2. 의학
고려 때는 태의감이라는 의료행정의 총괄기관이 생겨.
그리고 현존 최고(가장 오래된)의 의서인 향약구급방이 탄생해.
문화파트의 이런 명칭들은 암기해 둬야 한다!
이 책을 누가 썼는지는 모르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이 쉽게 알 수 있도록 각종의 병명과 치료방법, 그리고 약초들을 소개해놨어.
고려 고종 때(13세기) 대장도감에서 간행되었는데, 초판은 없어지고 재간된 책만이 남아있어.

3. 인쇄
나무를 깎아 만든 목판에는 초조대장경​(거란 침입 때 제작), 속장경​(초조대장경에 빠진 부분을 의천이 만듬), 재조대장경(팔만대장경,몽골 침입 당시 강화도에서 제작)이 있었고,
찰흙 나무 쇠붙이 등으로 조합된 활자로 만든 활판에는 상정고금예문(현존하지 않음), 직지심체요절<★​>이 있단다.

아래 사진처럼 판을 칼로 깎아서 그 위에 먹을 바르고 종이를 찍어내는 거야.
직지심체요절은 1377년 흥덕사에서 간행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 최고의 금속활자라는 것을 알아둬.<★​>
목판은 종류는 적지만 많은 양을 찍어냈었고, 반대로 활판은 종류는 많지만 적은 양을 찍어냈었어.
<재조대장경>

4. 무기
이제 드디어 화약을 이용한 무기가 발명됐어. 그 유명한 화포 최무선!
1377년에 화통도감이라는 관청이 생겨서 화약 및 화기의 제조를 맡지.
이런 화포를 이용하여 신흥무인세력은 진포해전에서 미개한 일본놈들을 깜짝 놀라게 했단다.
정확히 1377년 이것을 외울 필요는 없지만, 문화재들이 몇세기에 만들어졌는지는 알아야 돼.
화통도감은 14세기. ㅇㅋ?

● 과학
천문학 : 첨성대. 사천대. 역법(선명력→수시력→대통력,농업중시,왕권강화)
의학 : 태의감. 향약구급방(대장도감에서 간행,재간본만 현존)
인쇄 :
목판 - 초조대장경. 교장. 재조대장경(팔만대장경,강화도,몽골침입시)
활판 - 상정고금예문. 직지심체요절(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무기 : 화통도감,화포(최무선)

II.예술
1. 건축
고려 전기에는 주심포 양식이었으나 후기에 가면서 다포양식으로 바뀌어.
주심포양식은 지붕의 무게를 분산시키기 위해 기둥 위에 짜임새를 만든 거야.
다포양식은 그림처럼 공포가 기둥위에 뿐만 아니라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둬서 주심포보다 하중의 분배와 전달에 유리해.

주심포양식에는 만월대 터,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 대웅전이 있어.
다포양식에는 성불사 응진전, 석왕사 응진전, 심원사 보광전이 있단다.
부석사 무량수전은 배흘림기둥을 썼다는 것을 기억!

2. 탑
전기에는 송나라 영향을 받은 부여 무량사5층석탑월정사 8각 9층석탑, 그리고 후기에는 원나라 영향을 받은 경천사지 10층 석탑이 있어.
통일신라에는 안정적인 탑이 포인트였다면, 고려시대에는 다각다층으로 화려하고 자유분방한 모습을 보여.
그리고 통일신라 때 말했던 많은 승탑들이 고려시대에도 쌓여졌는데, 그 중에 고달사지 승탑을 알아둬.

3. 불상·불화
초기에는 철로 제작된 철불거대한 석불이 유행을 했어.
대표적으로 전자는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이 있고 후자는 관촉사 은진 미륵불이 있지.
아래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매우 개성적인 모습을 갖고 있어.

중기작품에는 부석사의 소조아미타여래좌상이 있어.
후기에는 불상은 없고, 불화가 유행했단다.
수월관음도가 대표적이야.

4. 자기
청자 제작 기법이 발달했는데...
11세기의 순청자<★​>, 12·13세기의 상감청자<★​★​>(​무신집권기 때 전성기를 이루고, 원간섭기 이후에 퇴조함)의 생김새를 알아둬.

● 예술
건축 :
전기 - 주심포양식-만월대 터,봉정사 극락전,부석사 무량수전(배흘림기둥),수덕사 대웅전
후기 - 다포양식-성불사 응진전

탑 : 무량사5층 석탑. 월정사8각9층 석탑. 경천사지10층 석탑. 고달사지 승탑

불상 :
초기 - 철불,석불 (개성적인 모습)
중기 - 부석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
후기 - 불화(수월관음도)

자기 : 순청자(11세기)→상감청자(12세기)

- O·X 퀴즈 -

1. 고려의 역법은 전기에 당나라로부터 들여온 선명력이 쓰이다가 후기에 가서는 원나라로부터 들여온 수시력으로 바뀐다. (O,X)
2. 13세기에 현존 최고의 향약구급방이 탄생한다. (O,X)
3. 재조대장경은 현존 최고의 금속활자이다. (O,X)
4. 14세기에는 화통도감이 설치되어 화약 및 화기의 제조를 하였다. (O,X)
5. 고려 전기에는 다포양식을 사용했다가 후기에는 주심포양식이 쓰였다. (O,X)
6. 상감청자는 원간섭기 이후 퇴조하였다. (O,X)
7. 전기에는 철불이 유행했다가 후기에는 석불이 널리 제작되었다. (O,X)
8. 경천사지 10층 석탑은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다. (O,X)
9. 초조대장경은 목판으로 제작되었다. (O,X)
10. 상감청자 전에는 순청자가 유행하였다. (O,X)

정답 : O O X O X , O X X O O
​<해설>
3. 직지심체요절 내용
5. 전기의 주심포양식에서 후기에는 다포양식으로 바뀜.
7. 초기에 철불과 석불이 널리 제작되었고, 후기에는 불상이 별로 제작되지 않음.
8. 원나라의 영향을 받음.

멀리 있는 것 같아도 전 항상 여러분과 함께 있답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가즈아!!!!!!